2011-02-11

갤러리 LVS 전시안내-오수진 황종명 2인전 "Face 2 Face"



전 시 명: Face 2 Face 전시기간: 2011. 02. 08 (Tue) - 2011. 02. 21 (Mon) 장 소: Gallery LVS (갤러리 엘비스)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565-18 쟈스미 빌딩 B1 Opening Hour 9:00-18:00 (Mon-Fri), 10:00-17:00 (Sat) Opening Reception: 2011. 02. 08 (Tue) 17:00




갤러리 엘비스에서는 2011년 2월 8일부터 2월 21일까지 오수진, 황종명 2인전 를 선보인다. 오수진은 홍익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 황종명은 경기대학교 서양화 전공 후 프랑스 디종의 에꼴 데 보자르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도 프랑스 디종에서 거주하며 활동 중인 작가이다. 사람의 얼굴이 주요 소재인 두 작가들은 서로 각자의 독특한 방법으로 현대인들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다. 전시명인 Face 2 Face 는 ‘두 얼굴이 마주본다; 솔직하게 정면하다; -와 맞서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face to face” 라는 영문 표현과 두 작가의 2인전, 혹은 “two-face” (이면성) 를 동시에 뜻하기도 한다. 오수진은 유명인들이나 일반인들이 우러러 보게되는 잡지의 모델들을 인터넷이나 잡지에서 찾아 캔버스로 옮긴다. 일반인들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실성이 없는 인물들을 캔버스 위에 붓으로 그리는 아주 고전적인 행위로 세밀하게 묘사하여 아날로그적인 실체를 형성한다. 그에 비해 황종명은 사진이라는 매개체로 영감을 받았지만 인물을 현실적으로 모방을 하지 않고 사람 눈에 쉽게 보이지 않는 왜곡을 첨부함으로써 살며시 인간의 내면을 외적으로 이끌어 낸다. 이 두 작가는 하나의 동일한 소재인 인간을 서로 대조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그리 공존하되 또 하나의 독창적인 시각을 창출한다. 작가 본인과 관객들이 인물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객관적인 시각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해 오수진은 극도의 하이퍼 리얼리즘을, 황종명은 조금은 과장된 색감이나 도형들로 구성된 도구를 장치해 놓았다. 이를 통해 관객은 수많은 무명 혹은 유명의 인물들 사이 좀 더 솔직하고 직접적인 “people-watching” 사람구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Gallery LVS서울 강남구 신사동 565-18 쟈스미 빌딩 B1 135-891T 02 3443 7475F 02 3443 7827http://www.gallerylvs.org












PUBLIC ART 3월호 exhibition review




낮섦과 친숙함의 이중적 구조로 그려낸 인물의 실제성


" 사실주의는 양식이 아니라 접근방법이고 목표이다." 라는 존버거( John Peter Berger)의 말처럼


현대미술에서 극사실주의는 예술적 가능성과 정신을 실현하는 하나의 접근방법이다.최근의 한국미술에서 보이는 극사실회화는 핍진성을 놓이기 위한 여러 전략(묘사, 동기화, 보편적 인물설정 등)을 동원하여 개별성을 획득하려는 작품들로 채워지고 있다.


특히 인물화를 통한 문화적 관습과 기법을 탐구하는 시도들이 많다. 현대인의 얼굴을 대조적인 시각에서 새롭게 접근한 오수진과 황종명도 같은 맥락에 있는 작가들이다. 오수진. 황종명의 2 인전은 ' 페이스 투 페이스( Face 2 Face)'의 전시명처럼 두 얼굴이 마주 본다는 점에서 인간과 인간의 이중성이나 양면성을 드러내고 표현의 진실성과 과장성, 허상과 실상이라는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우리의 시선과 상식에 의문을 던진다. 인물화이면서 각기 다른 색깔을 지닌 두 사람의 작품은 허구적 사실, 사실적 허구로 대변되는 현대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현실 인물의 잠재된 페르소나를 통해 실제성( Factuality)으로 도출시키고 있다.


......중략....


반면, 황종명의 인물은 자신과 인연이 있는 사람들이 모델이라는 점과 사진을 활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에릭>,<프랑수와>,<리차드>,<레미>,<파스칼> 등 실명의 타이틀에서 작가와 모델과의 관계성을 짐작할 수 있다. 이점에서 황종명의 인물들은 오수진의 인물들보다 낯설다. 그러나 익명의 외국인들이라는 낯섦보다는 인물화의 회화성과 개별성에서 오는 친숙함이 있다.


한 사람이 지닐수 있는 여러감정과 표현이 중첩되어 나타나듯 뚜렷한 외시적 사실성보다는 축적된 감정의 깊이에서 오는 내재적 진실함이 느껴진다. 이는 눈으로 확인할수 있는 실재보다 눈에 보이지 않은 본질에 접근하기 위한 의도적 표현에서 감지된다. 감정의 진실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 모델들의 무표정한 얼굴, 근거리에서 멀어질수록 오히려 인물의 표정이 선명해지는 듯한 시각적 착시, 인물에 집중된 시선을 빼앗는 이질적이면서도 화려한 색조의 배경처리 등은 그의


회화적 본질과 함축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부분들이다.


결과적으로 오수진.황종명 두 사람이 그려낸 인물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이야기와 모습을 담고있다. 성별, 인종, 피부색을 넘어 현실과 가상의 공간에서 만나는 인물들은 현대 사회에서 우리들이 맺고 있는 새로운 인간관계의 전형이다. 매일 낯섦과 친숙함의 경계에서 무심코 반복되는 만남과 헤어짐을지라도 거기에는 분명 삶의 존재적 의미를 들여다 볼수 있는 관계가 숨어 있음을 보여준다. . 변종필 미술평론가


2010-07-01

Works 2010























































2009-12-06

Hwang - c.v








황 종 명 Hwang Jong Myung

1975년 태백생, 2000년부터 프랑스 디종에서 작품활동중


EDUCATION


2006 프랑스 국립 디종 에꼴 데 보자르 Dijon D,N,S,E,P (석사)

2004 프랑스 국립 디종 에꼴 데 보자르 Dijon D,N,A,P (학사)

2000 경기 대학교 미술학부 서양화 전공 (학사 )


개인전

2010 FACE 프랑스 디종시립 갤러리 초대전 La Source, 디종, 프랑스.

2009 FACELESS Addict 갤러리 초대전, 파리, 프랑스.


2009 JOE SOAP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전시관

2009 가나아트 아뜰리에 레지던시, 파리 국제 예술관, 프랑스.


2007 INVISIBLE MEN Adler 갤러리, 파리, 프랑스.

2007 제 4회 재 유럽 청년작가상 수상기획전.정헌메세나.


2007 COOL FAMILLY 라 메종데 엑스포지시옹 제나스 시 기획 초대전. 리옹, 프랑스.

2007 PINK 독일 문화원 초대전, Haus Rheihlandpflz, 부르고뉴 프랑스.

2006 PINK-MEN CaixaBANK 현대 미술재단. Caixa 은행 전시장, 디종, 프랑스.

2006 RED-FACE 부르고뉴 도 문화원 초대전, 디종, 프랑스.

2005 PORTRAIT Lib de Privat, 디종, 프랑스.

2004 PORTRAIT Lib de Privat, 디종, 프랑tm.


주요 그룹전

2011 Face 2 Face 갤러리 LVS , 서울. http://www.gallerylvs.org/

2010 EYES Jacob Paulett 갤러리 기획전, 파리, 프랑스.


2009 CHECK-CHOO-K Adler 갤러리 기획전, 파리, 프랑스.

2009 SLIC 09 아트페어, Centquatre 아트센터, 파리, 프랑스.

2009 아름다운 다리 예술의 전당 정헌메세나, 한가람 미술관 기획전, 서울.

2008 Art Basel 08 Miami Beach Event.2008 갤러리 Adler Bertin- Toublanc, 마이애미, U.S.A.

2007 자유분자들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파리 국제예술관.

2007 유럽 신세대 작가전, 제불한국문화원 기획전, 파리, 프랑스.

2007 Europ Marche 유럽 연합의 날 기념 설치전, 디종 liberte 시청 광장, 프랑스.

2006 젊은모색 2006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 국립 현대미술관.

2006 LE CORPS 베레니스 갤러리, Talant시, 프랑스.2005 3th 발렌시아 비엔날레 르 콘서시움 아트센터 커미셔너 (김승덕, 프랑크 고트로) 발렌시아 시, 스페인


황종명
HWANG jongmyung
Ne en 1975 Coree du sud.
Vit et travaille à Dijon (France) et Corée du sud.

FORMATIONS
2006 D.N.S.E.P,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ts de Dijon (M.F.A)
2004 D.N .A.P , Ecole Nationale Supérieur d’Arts de Dijon (B.F.A)
2000 License d’Art Plastique . Université de KYUNGGI, Seoul. (B.F.A)

Expositions Personnelles
2010 FACE Galerie Municipale Fontaine-les-Dijon La Source.

2009 « FACELESS » Galerie Addict. Paris
2009 « JOE SOAP » Cite internationale des art. Paris
2007 « Invisible Men » Adler Galerie. Paris
Lauréat du Prix ‘Jeune Artiste Coréen en Europ 2007
2007 « Cool Family » Maison des Expositions Genas . Lyon
2007 « Pink » Centre Culturel Allemand en Bourgogne. Haus Rheinland-pFalz
2006 « Pink- Men » Caixa Bank Foundation of Contemporary Art
2006 « Red – Face » Centre Bourguignonne Culturelle. ABC Galerie. Dijon
2005 « Portrait » Espace d’Exposition . Lib de Privat Dijon
2004 Portraits Espace d'Exposition. Lib de Privat Dijon

Selections Expositions Collectives
2010 EYES Galerie Jacob paulett, Paris
2009 « Beautiful Bridge » Hangaram Art Museum, Seoul Art Center, Seoul.
2009 CHECK-CHOO-K Galerie Adler, Paris
2009 Art fair « SLICK 09 » Galerie jacob paulett, centquatre, Paris
2008 « Art Basel Miami beach event » Galerie Bertin Toublanc. Miami. U.S.A
2007 « Particules Libre » Korean Artist in Europe
Cité internationale des Arts . Paris
2007 « Europ Marche » Carte d’Europ Union. La place de la Libération. Dijon.
2007 « Figuration Libre et Narrative » Société Générale Banque
2006 « Young Korea Artists 2006 » Musée Nationale d’Art Cotemporain. Corée du sud
2006 « Exposition Collection 2006 » caixaBANK
2006 « D.N.S.E.P »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ts de Dijon
2005 « 3, Biennale of Valencia » Valencia , Espagne

ART Residency :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Paris, invite par Gana Art.
Selections Editions : L'argilete revu d'art edition HERMANN 2009
LIGEIA dossiers sur l’art,(renouveau de la peinture) juin2006

2009-11-26

selections works 2009


http://www.addictgalerie.com/lng_EN_srub_3-addict-galerie.html


http://www.etapes.com/agenda/expositions/agenda-jong-myung-hang-faceless




9th solo expo, Galerie Addict paris 3eme.


Faceless
Jong-Myung Hwang
14 Novembre 2009 - 23 Décembre 2009
Vernissage le samedi 14 novembre 2009 de 18:00 à 21:00Exposition du 14 novembre au 23 décembre 2009Mardi - Samedi - 11:00 - 19:00
La Galerie Addict accueille pour l' exposition personnelle,Jong-Myung Hwang, jeune artiste coréen élève de l’école des Beaux arts de Dijon. Son travail exprime la crise d’identité de notre société contemporaine en s’inspirant de figures anonymes.
Il procède d’après des photographies mais ses portraits ne sont pas pour autant des imitations fidèles. Sa virtuosité technique lui permet de renoncer au mimétisme pour mieux soumettre ses modèles à d’imperceptibles déformations qui mettent en valeur une particularité physique ou accentuent une expression sans solliciter directement l’émotion.Le grain de la chair et la brillance de la peau, la forme de la face, la place des yeux et du regard, l’implantation des cheveux, y sont montrés avec une sorte d’excès de réalisme où l’on rentre non sans cette fixité torve et fallacieuse qui dérange. Les couleurs agressives, semblent écrasées par un éclairage artificiel puissant qui estompe leurs contrastes sous une lumière froide. Les visages, chez lui, subissent de légères homothéties et la peau arbore des roses plus violents aux éclats artificiels qui symbolisent la modernité. Méconnaissant leur banalité et leur propre ignorance, ils posent sur qui les observe une expression très singulière à laquelle chacun peut s’identifier. Ces pitoyables ribambelles, Hwang les débusque dans les sociétés industrielles uniformisées, véritables cimetières de la beauté où un tout un monde disparaît corps et biens.
Chez Hwang, ses visages masquent le vide dans lequel nous sombrons. En ce sens, son œuvre est politique. Pour lui, la société est à bout de souffle mais la peinture ne l’est pas car elle reste une démarche éminemment personnelle, capable de produire, à partir de la même photographie, des portraits très différents en fonction du désir de l’artiste. En peinture, pas de reproduction mécanique tant que survivra un artiste qui saura restituer dans ses tableaux une impression qui l’a frappé.La démarche de Hwang reste proche de celle de l’allemand Thomas Ruff dont les photographies sont plus objectives. Cependant, Hwang reste avant tout coréen tant il restitue de nuances qu’un non oriental ne perçoit pas. Pour lui, l’occidental dit blanc a une peau rose dont il met au jour toutes les variations et laisse chatoyer toutes les nuances.Mais surtout, cet artiste demeure coréen par la formation reçue dans son pays qui, à l’instar de l’enseignement chinois, valorise la grande technique académique comme naguère elle se pratiquait dans l’atelier de David. On y apprend à dessiner et à peindre avec virtuosité sans trop intellectualiser, à la différence des Beaux Arts français où l’on append davantage à parler concepts ardus qu’à exécuter des choses difficiles. Si la maîtrise technique ne suffit pas à créer le génie du moins atteste-t-elle le talent. Et Hwang n’en manque pas qui a pu imposer son regard d’artiste à un savoir faire acquis mais volontairement « désappris », tel Picasso qui a su inventer au-delà ce de qu’on lui avait enseigné et qu’il dominait parfaitement.
Comme d’autres, les artistes asiatiques qui travaillent en France, valorisent cette technique qu’ils savent mettre en valeur par la déconstruction même de ce qu’ils ont acquis dans leurs écoles


'Beautiful Bridge' , Seoul Art center, Hangaram Museum



2009 eyeshot, oil on canvas 162 x 130cm



2009 eyeshot oil on canvas 162 x 130cm


2009 passeur oil on canvas 162 x 130cm





2009 pink girl oil on canvas 116 x 89cm


2009 dreaming boy oil on canvas 146 x 114cm



2009 passeur oil on canvas 146 x114cm






2009 pinkman. oil on canvas 195x130cm

































2009, invisible-men 162x130cm






2009 skie, oil on canvas 148 x 114cm





2009 x&y oil on 2 canvas ( 61x50 ) x 2



2009 oil on 2 canvas, 61x50cm x 2 canvas







2009 joe oil on canvas 61 x 50cm





2009 joe soap, oil on canvas 116x89cm



2009 double ego, 종이위에 볼펜 180 x 125cm






2009 3 clones, 종이위에 붉은 볼펜, 225 x 130cm